반응형

Safe Insight 20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경고! 뇌피셜입니다. !경고! 금주 토요일이 필기시험인데 뒤늦게 예상문제를 접한다면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경고! 개인적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거나, 기출문제 중 뜸했던 것들에 대해서 예상해 본다는 의미이므로 나오는 확정이 아닙니다. 즉, 뇌피셜입니다.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1. 정자교 붕괴사고에서 파생될 수 있는 문제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대한 결함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중대한 결함 - 시설물의 안전점검 종류, 실시방법 - 정밀안전진단 실시 주기, 방법, 보수 보강 방법 - 철큰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 열화 및 그 방지대책 - 철근콘크리트 단위수량 (작년에 개정된 시방서가 아직 출제되지 않았음) - 철근의 피복두께 - 철근콘크리트 비파괴 시험방법, 슈미트 해머 보정방법 등..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한번 씩 작업중지에 대한 문제 또는 면접질문이 있을 때가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중지와 관련해서는 사업주, 근로자, 고용노동부 장관 의 작업중지와 해제절차 등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 질문이 작업중지라고 하더라도, 법적인 바탕을 말하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나오는 여러가지 작업 중지의 경우를 같이 언급해야하고, 고용노동부 장관이 작업중지 에서는 해제 절차 까지 언급해주는 것이 좋다.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사업주의 작업중지 의무] (제51조) 악천후 및 강풍 등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근로자의 작업중지 요청·보고의 경우 작업중지의 의무가 있음 (사업주의 작업중지 항목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1) 철골공사 악천후 작업 기준 (2) 타..

129회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기출문제

129회 건설안전기술사 면접은 4월 15일, 4월 17일 이틀간 진행되었다. 2년 만기 응시자를 위해서 129회 필기 합격자 발표일 이전에 1차적으로 접수가 있었고, 129회 필기 합격자 발표 이후 2차 면접 접수가 있었다. 1차 면접 접수기간 때 4월 17일뿐이었고, 2차 접수 때 4월 15일, 4월 17일 남는 자리 접수가 있었다. 당부드리는 것은 면접은 문제를 먼저 안다고 해서 면접장에서 우수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은 절대 아니므로, 전략적으로 어떻게 답을 이어나갈지 그리고 몇번이고 입 밖으로 내뱉으면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는 이곳저곳 정보를 얻어서 작성된 것으로, 면접자가 본인만의 기억으로 부족한 정보를 제공했을 수도 있고, 면접을 직접 가 본 것이 아닌 부스인 경우에는 추측에 불가하..

건설안전기술사 면접대비 - 안전관리론 분야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대비 안전관리론 분야 정리본 입니다. 면접 기출문제를 모았고, 최근 고용노동부의 위험성평가 강화와 관련된 것들을 앞에 꼽아보았다. 그리고 양이 많다. 목차 1. ALARP 원칙 2. 위험감수성, 위험감행성 3. 스위스 치즈 이론 4. 하비 vs 하인리히 vs 버드 5. 하인리히 도미노이론 6. 버드의 신도미노이론 7. 하인리히 법칙에서 5가지 사고예방 원리 8. 재해예방 대책 4가지 원칙 9. 재해손실비용 10. 자베타키스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1. 웨버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2. 매슬로우 인간욕구 이론 13. 알더퍼 ERG이론 14. 맥그리거 X,Y이론(관리이론) 15. 허츠버그 2요인론 16. 재해요인 등가성(등치성) 이론 17. 산업재해 4형태(에너지형태에 의한 분류) 18. 안..

[기출] 이동식크레인 -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문제 : 이동식 크레인의 설치 시 주의사항과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 중 안전수칙, 운전원 준수사항, 작업 종료 시 안전수칙 1. 개요 이동식크레인이란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로 운반하는 설비로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받는 기중기 또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화물ㆍ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2. 이동식크레인의 설치 시 주의사항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1조) 1) 작업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작업을 할 것 2) 작업을 할 구역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취지를 보기 쉬운 곳에 표시할 것 3) 비,..

[기출] 작업부하 -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문제 : 작업부하의 정의, 작업부하의 평가방법, 피로의 종류 및 원인 1. 개요 작업부하로 인한 피로도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영향요인을 정확히 알고 예방, 관리하려는 노력은 근골격계질환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증진 및 건전한 작업 환경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2. 작업부하의 정의 작업부하(Work load) 는 작업수행에 따라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육체적, 정신적 기능 정도를 말한다. 작업부하에는 작업자에게 압박을 가하여 작업성능을 저하시키는 속도압박과 작업특성을 변화시키는 부하압박이 있다. [작업부하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 작업방식 : 작업자세, 작업의 흐름, 조작방법, 동작순서, 근육작업 ▷ 작업밀도 : 작업속도, 에너지 사용, 주의집중과 긴장도, 업무요구도 3. 작업부하 평가방법 1) 주관적 방..

[기출] 교량공사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안전

문제 : 교량공사의 FCM(Free Cantiliver Method) 공법 및 시공순서에 대하여 기술하고 세그먼트(Segment) 시공 중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1. 개요 FCM 공법이란 교량하부에 동바리 등을 설치하지 않고 이동식 작업대차 (Form Traveller) 또는 이동식 가설용 트러스를 사용하여 교각으로부터 좌우 평행을 유지하면서 한 세그먼트 씩 순차적으로 반복시공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연결해나가는 교량상부 가설공법이다. 2. FCM 가설장비 설치작업 시 안전관리 방안 1) 구조검토 수행여부 확인 2) 제작도면에 의한 가설장비 시공순서 준수 3) 가설장비 접속부의 볼트체결 및 수평유지 상태 점검 4) 레일 및 가설장비 고정용 강봉 설치 상태 5) 주행장치 및 차륜상태 점검 6) 각종 유압..

[기출]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 관계

문제 : 건설 안전심리 중 인간의 긴장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의 관계 1. 개요 1) 인간의 긴장 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은 긴장의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서 긴장의 정도에 따라 인간의 뇌파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의 정도에 따라 의식수준이 변동된다. 2) 긴장수준 (Tension Level) 이 저하되면 인간의 기능도 저하되고 주관적으로도 여러 가지의 불쾌증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사고경향이 커진다. 2. 의식수준 5단계 단계 주의 상태 신뢰도 비고 0 수면 중 0 의식의 단절, 의식의 우회 I 졸음 상태 0.9이하 의식 수준의 저하 II 일상 생활 0.99~0.99999 III 적극 활동 0.999999 이상 주의집중 (15분 이상 불가능) IV 과긴장 0.9이하 주의..

[면접] 내진, 면진, 제진 - 건설안전기술사

먼저 튀르키예ㆍ시리아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무거운 마음을 가지고 구조물의 내진, 면진, 제진에 대해 알아보자. 129회 면접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내진, 면진, 제진 정의 [내진] (저항) 설계 지지력에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도록 강성과 탄성을 확보하는 튼튼한 시공 [제진] (흡수) 별도의 장치를 이용, 지진력에 상응하는 힘을 발생 또는 지진력을 흡수하는 방식 [면진] (격리) 구조물과 지반을 분리, 진동이 구조물로 직접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기술 내진 내진구조는 지진으로부터 건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라는 포괄적인 개념과 면진구조와 제진구조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 내진이란 구조물을 아주 튼튼하게 지어서 지진의 지진력이 작용해도 구조내력에 의해 대항하게 하겠다는 ..

[기출] 허용응력설계법(ASD)과 극한강도설계법(USD)

129회 기출문제에서 난이도가 있었던 문제 중에 하나. 사실 난이도 보다는 출제 빈도가 낮았던 문제로, "허용응력설계법과 극한강도설계법으로 교량의 내하력을 평가하는 방법" 으로 119회 (2019년 8월)에 출제된 적이 있다. 허용응력설계법(ASD)과 극한강도설계법(USD) - 철근콘크리트 1. 철근(강재)의 응력-변형율 그래프 1) 허용응력 설계법 : 0 ~ A 구간, 구조물이 탄성영역에 있다고 가정한 설계법 - 콘크리트 실제 응력 fc < 콘크리트 허용응력 fca - 철근의 실제 응력 fs < 철근의 허용응력 fsa - 안전율 = 극한응력 / 허용응력 2) 극한강도 설계법 : 0 ~ D 구간, 구조물이 비탄성 거동인 극한강도 영역에 있다고 가정한 설계법 - 소요강도 ∑γi Li < 설계강도 ΦSn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