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술사 면접 대비 안전관리론 분야 정리본 입니다. 면접 기출문제를 모았고, 최근 고용노동부의 위험성평가 강화와 관련된 것들을 앞에 꼽아보았다. 그리고 양이 많다.
목차
1. ALARP 원칙
2. 위험감수성, 위험감행성
3. 스위스 치즈 이론
4. 하비 vs 하인리히 vs 버드
5. 하인리히 도미노이론
6. 버드의 신도미노이론
7. 하인리히 법칙에서 5가지 사고예방 원리
8. 재해예방 대책 4가지 원칙
9. 재해손실비용
10. 자베타키스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1. 웨버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2. 매슬로우 인간욕구 이론
13. 알더퍼 ERG이론
14. 맥그리거 X,Y이론(관리이론)
15. 허츠버그 2요인론
16. 재해요인 등가성(등치성) 이론
17. 산업재해 4형태(에너지형태에 의한 분류)
18. 안전사고의 성향과 특성
19. 안전관리론에서 착오발생 원인 3가지
20. 시스템 안전에서 THERP (인간심리학)
21.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
22.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
23. 안전관리조직의 종류
24. 안전심리 5대 요소
25. 산업심리에서 성격 5요인 (Big 5 Factor)
26. 동작경제 3원칙
27. 간결성의 원리
28. 안전설계기법 8가지 (근원적 안전설계기법)
29. Fail safe
30. Fool Proof
31. 헤르만 에빙하우스 망각곡선
32. 연습곡선/작업곡선/학습곡선
33. 고령(장년)근로자 신체적 특징
34. 재해빈발자 태도판정
35. 주의와 부주의
36. 인간의 긴장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 5단계
37. S-R이론(자극과 반응 이론)
38. 건설업 외국인근로자 체류자격/ 외국인 작업자에 대한 관리방안
1. ALARP 원칙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의 약자로 1974년 영국의 직업안전보건 분야에서 작업장 안전관리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해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존재하는 위험성을 가능한 낮추되 시간, 노력, 비용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실행가능한 수준까지 낮춘다는 의미 입니다.
ALARP 원칙은 현재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사용하고있는 영국 식 위험성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위험성에 대한 1차 평가에서 수용가능한 수준의 위험성은 그대로 수용하고, 그보다 상위하는 위험성인 “허용가능한”위험성 범위에서 ALARP 원칙을 적용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재평가하여 “수용” 또는 가능한 수준의 “허용가능한” 위험수준으로 낮추도록 하고있습니다.
[수용과 허용의 차이]
1) 수용가능한 위험성 – Acceptable risk : 잔류위험성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성
2) 허용가능한 위험성 – Tolerable risk : 잔류위험성이 수용가능한 위험성보다 높고, 적정한 안전대책이 동반된 위험성
2. 위험감수성, 위험감행성
1) 위험감수성 : 특정 위험성에 대하여 얼마나 위험하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것으로,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불안전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2) 위험감행성 : 특정 위험성에 대하여 위험한 것을 인지하고도 그것을 자체적으로 수용하고 행동하는 정도로, 위험감행성이 클수록 불안전한 행동 가능성이 크다.
위험감수성과 위험감행성을 고려하여 재해빈발자(Risk taker)를 판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3. 스위스 치즈 이론
[정의] 치즈는 제품을 만들 때 발효균으로 인해 구멍이 자연스럽게 뚫리는데 이런 구멍들이 여러 치즈를 수확하기 위해 겹치는 순간 한 구멍으로 긴 막대를 충분히 통화시킬 수 있을 만큼 구멍 이어져 있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대형사고는 이러한 요소들이 우연하게 일치할때 일어나게 된다는 이론
4. 하비 vs 하인리히 vs 버드
[하비]2천여건 사고조사 및 안전기사로 사고원인은 3E(기술적, 교육적, 관리적)의 주 원인으로 발생되며 예방측면에서 역시 3e에 따라 안전대책의 수립과 예방이 가능하다는 이론
① [기술적] 기계기구 결함, 방호장치 미부착, 작업환경불량/기계기구 교체, 방호장치부착, 작업환경 개선
② [교육적] 지식부족, 기능미숙, 태도불량/안전지식, 훈련철저, 안전교육 철저
③ [관리적] 안전관리조직 불량, 안전수칙 안전규정 미준수, 작업배치 불량/안전관리조직 개선, 안전수칙 규정 준수,적정작업배치
[하인리히] 5천여건 사고조사 및 안전기사(이후 보험학자)로 재해발생의 직접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사고예방 통제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라는 유개불사재 연쇄성 이론을 주장하면서 안전을 과학으로 승화
[버드] 175만 3천여건 사고조사 및 보험학자로 재해발생 직접원인은 하나의 징후에 불과하며 사고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징후의 배후에 있는 기본원인(4m)에 있으며 근본원인은 통제 부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이론
5. 하인리히 도미노이론
[하인리히 도미노 이론]
유전적/환경적 결함 → 개인적 결함 → 불안전한 행동·상태 → 사고 → 재해의 단계를 주장하였고
[직접원인] 불안전한 행동·상태이며
[발생원인] 개인적 결함으로 지식부족, 기능부족, 태도불량, 휴먼에러(신체적,정신적) 5가지가 있다
▶직접원인 제거 시 연쇄반응은 발생되지 않으며 발생원인은 개인적인 결함 5가지입니다.
6. 버드의 신도미노이론
통제부족 → 기본원인 → 직접원인 → 사고 → 상해의 단계를 주장하였고 기본원인 4M을 제거하면 사고를 제거할 수 있고 630여건의 사고를 제거하면 재해가 발생되지 않는다” 라는 이론입니다.
① 통제부족: 관리자 직무미흡, 관리자 작업기준미흡
② 기본원인: 사고발생의 배후요인(4m)으로 개인적(교육3,신체,정신), 작업상(3e)
③ 직접원인: 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
④ 사고: 불안전한 상태와 행동의 접촉
⑤ 상해 : 사고의 결과
▶ 사고예방 비율 = 1 : 10 : 30 : 600
7. 하인리히 법칙에서 5가지 사고예방 원리
조직▸사실의 발견▸분석▸시정책 선정▸시정책
[조직] line형, stafe형 line-stafe형
[사실의발견]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
[분석] risk분석, 재해발생 원인분석
[시정책선정] 기술적, 교육적, 관리적 대책
[시정책적용] plan-do-check-action 순으로 적용
[핵심내용]
①불안전한 행동·상태를 제거를 위한 사고예방 5원리 도입
②대책선정의 원칙과 예방가능의 원칙을 도입하였음
③하비의 대책 3E를 도입하였습니다.
8. 재해예방 대책 4가지 원칙
손실우연, 원인연계, 예방가능, 대책선정
9. 재해손실비용
[정의] 업무상 재해로 인적상해와 물적손실 등 재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지출되지 않았을 직·간접비용을 말합니다.
[하인리히 평가방식] 직접비와 간접비 비율을 1:4
[버드 평가방식]빙산원리
1 : 5~50 : 1~3 을 주장 하였으며, 1은 보험비, 5~50은 비보험비, 1~3은 보험으로 충당되지 않는 비계상cost를 나타냅니다.
[시몬스 평가방식] 평균치 계산법으로 보험cost와 비보험cost 합산하는 방식이며
[콤패스 평가방식] 개별비용과 공동비용 합산을 통해 재해손실비용을 평가 합니다.
[노구찌 평가방식] 시몬스 방식을 일본식으로 변형
10. 자베타키스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에너지 또는 위험요소의 이동이나 폭주에 의해 일어난다는 이론
[단계]
① 개인적/환경적 요소▸② 불안전한행동·상태▸ ③ 물질에너지 기준이탈▸④ 사고▸⑤ 구호
11. 웨버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 유전적 요인/작업환경적 결함 → 인간결함 → 불안전한 상태/불안전한 행동 → 사고 → 상해
작전적에러 : 유전적요인, 작업환경적결함, 인간결함
작전적 에러의 징후 :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의 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여 상해로 이어지는 사고발생 연쇄성 이론으로 관리구조 결함을 도입함
What - 무엇이 사고를 발생하게 만들었나?
Why - 왜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가 허용이 되었는가?
Whether - 감독자는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없었는지?
▶ 아담스 비교
관리구조의 결함 → 작전적 에러 → 전술적 에러(직접원인) → 사고 → 상해 순을 주장 하였습니다.
12. 매슬로우 인간욕구 이론
인간욕구를 7단계(5단계)로 분류하고 동기부여는 고차원적 욕구에서 가능하다고 주장한이론으로
① 생리적욕구
② 안전욕구
③ 사회적욕구
④ 인정받으려는욕구
(⑤ 인지적욕구, ⑥ 심미적욕구)
⑤ 자아실현의욕구
13. 알더퍼 ERG이론
알더퍼는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를 바탕으로 욕구를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3단계로 구분하는 ERG 이론을 만듬
Existence(생존욕구),
Relatednes(관계욕구)
Growth(성장욕구)
14. 맥그리거 X,Y이론(관리이론)
맥그리거는 인간의 성향을 X,Y 두가지로 분류하여 동기부여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① X이론:성악설로 불신, 물리적욕구, 수동적, 명령, 통제, 저개발국에 해당되며
② Y이론:성선설로 신뢰, 정신적욕구, 능동적, 자율적, 선진국의 형태
15. 허츠버그 2요인론
① 위생요인(불만족)
② 동기요인(만족)
16. 재해요인 등가성(등치성) 이론
재해를 일으키는 요인은 전부 중요하며 어느 하나 라도 소홀히 할 수없는 등가를 가지고 있다는 이론이다. 사고를 발생시키는 여러 요인 중 현장에서 제일 쉬운 것을 제거하면 사고는 발생하지 않는다.
[3형태] 집중형, 연쇄형, 복합형으로 구분되며 현장에서의 안전수칙 미 준수는 그 경중을 따져 조치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안전기준과 규정에 의거하여 인색하게 조치해야 합니다.
17. 산업재해 4형태(에너지형태에 의한 분류)
① 에너지 폭주(폭발,낙하,비래),제3자,근로자,물건
② 에너지 활동구역에 사람이 침입(감전, 화상)
③ 인체가 에너지로써 물체에 충돌(추락, 추돌)
④ 대기 중의 유해, 유독물(산소결핍, 질식)
18. 안전사고의 성향과 특성
[안전사고의 성향]
① 소수의 근로자에 의해 발생하며
② 소심한 사람은 사고유발이 쉽고
③ 사고 경향성이 없는 사람은 침착, 숙고형 입니다.
[안전사고의 특성]
① 시간성:사고본질은 시간적이다
② 법칙성:우연한 법칙에 따라 발생
③ 우연성:인간착오로 발생하며 복합형태의 우연
④ 재현불가능:인간의지와 무관, 사고재현 불가능
19. 안전관리론에서 착오발생 원인 3가지
착오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며 인지, 판단, 조작과정에서 착오방지를 위한 예방대책이 필요.
[원인]
① 인지과정:정보수용의 한계, 정보저장능력의 한계, 감각차단, 심리생리적 요인
② 판단과정:자신과잉,자기합리화,능력부족, 정보부족
③ 조작과정:교육, 지식, 경험, 운동능력 등의 부족
[대책] 3E
기술적대책: 어려운 작업 투입금지
교육적대책: 태도교육 중점
관리적대책: 적성배치, 개별면담
20. 시스템 안전에서 THERP (인간심리학)
[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ation
시스템에 있어 인적과오의 발생 확률을 평가할 목적으로 인간 신뢰성 평가 [HRA, Human Reliability Assessment] 분야에 사용되는 기법이다. 이는 시스템 내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전체 안전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인적 에러율 예측기법이다.
[활용]
Man-Machine System에서 국부적인 상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사고원인 중에서 인간의 실수에 기인한 것에 대한 분석과 안전 공학적 대책수립에 사용된다.
21.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
[적극적 안전] 유해·위험요인 제거
① 사전 안전성평가
② 안전시설물 설치
③ 맨-머신 작업영역 지정(접촉차단)
④ 위험예지훈련 실시
⑤ 작업장 조도 유지
[소극적안전] 유해·위험요인 회피
① 안전교육 실시
② 보호구 지급 및 착용
22.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
[정의] 주관적 판단과 경험을 근거로 위험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무리한 행동을 강행하는 것으로 사고의 주 원인이 됩니다. 안전태도가 불량일수록, 나이가 젊을수록, 경험이 많을수록 리스크 테이킹 확률이 높습니다.
위험감행성과 위험감수성과 관련하여 Risk taking 확률이 높은 사람은 위험감행성이 높은 사람이며, 위험감수성은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다.
23. 안전관리조직의 종류
[라인형] 소규모사업장, 100명이하
① 직선적, 개선식, 직계식
② 경영자 관리자 명령이 상에서 하의 직선적 전달
[스태프형] 중규모 사업장,100~1000명이하 [참모형] 조직에서 실시하는 안전보건 관리를 위해 스탭부문을 두고 계획, 조사, 검토, 권고, 보고 등을 행하는 관리방식
[라인-스태프형]대규모 사업장, 1000명이상
① 안전보건 전문 스텝조직을 두고 생산라인의 각 층에도 각 부서의 장이 안전보건을 담당
② 안전보건업무와 생산업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이상적 구조
▶ 장점 : 안전 전문가의 전문적 문제해결, 경영자에게 조언과 자문역할,
▶ 단점 : 현장과 안전간의 마찰 가능성, 지시나 전달이 신속하지 못하고,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 통제가 어렵다
24. 안전심리 5대 요소
▶ 안전심리 5대 요소는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통제하는 것으로 안전활동의 성공을 위해 관리해야 한다.
[감정, 동기, 습관, 습성, 기질]이 있으며 감정과 동기는 제어가 가능하며 습관, 습성, 기질은 제어가 불가능합니다.
▶ 즉, 감정과 동기는 현장에서 제어가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감정과 동기 제어에 주목해야 합니다.
▶ 당사 감성 안전으로 상호 존중하는 문화 정착
25. 산업심리에서 성격 5요인 (Big 5 Factor)
[성격] 이란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인간의 모든 행동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5가지 성격 요소가 있다.
①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상상력, 호기심, 모험심, 예술적 감각 등으로 보수주의에 반대하는 성향
② 성실성(Conscientiousness):목표성취를 위해 성실하게 노력하는 성향, 과제 및 목적 지향성을 촉진하는 속성과 관련된 것으로, 심사숙고, 규준이나 규칙의 준수, 계획 세우기, 조직화, 과제의 준비 등과 같은 특질을 포함
③ 외향성(Extraversion)다른 사람과의 사교, 자극과 활력을 추구하는 성향
④ 우호성(Agreeableness)타인에게 반항적이지 않은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성향
⑤ 신경성(Neuroticism)분노, 우울함, 불안감과 같은 불쾌한 정서를 쉽게 느끼는 성향
26. 동작경제 3원칙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위험요인을 찾아내고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표준작업을 설정하는 것으로
① 동작능력 활용
② 작업량 절약
③ 동작 개선의 원칙이 있습니다.
27. 간결성의 원리
최소에너지에 의해 어느 목적을 달성하려는 경향 (인간의 심리활동)을 말합니다.
▶ 간결성의 원리에 따른 재해 다발자는 인지, 판단 조작의 순서에서 판단을 경유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며 재해가 발생하는 메카니즘 입니다.
28. 안전설계기법 8가지 (근원적 안전설계기법)
작업자의 착오나 기계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안전·방호장치가 작동하여 사고나 재해로 연결되지 않게 하는 설계기법을 말함
[종류]
① Fail safe (안전작동)
② Fool proof (실수방지),
③ Fail soft (기능회복)
④ Back up system (기능대행)
⑤ 다중계화(병렬작동)
⑥ 안전율 적용
⑦ 자동진단·회복
⑧ 위험부위 고장의 감소
29. Fail safe
인간과 기계의 오류가 있더라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제를 가하는 것
[구조적 Fail safe]
① 분할구조
② 교대구조
③ 하중경감구조
④ 경로 하중구조
[회로적 Fail safe]
① 철도신호
② 개폐기 용장회로
[기능적 Fail Safe]
① Fail passive (시스템 정지)
② Fail active (단시간 운전)
③ Fail operational (추후 보수까지 작동) :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ation]
30. Fool Proof
인간이 실수를 하더라도 그 결과가 재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
[종류]
① 격리
② 기계화
③ 시건장치
[Fool proof 기구 6가지]
① 가드기구
② 조작기구
③ 오버런기구
④ 락기구
⑤ 에러방지기구
⑥ 트립기구 등
31. 헤르만 에빙하우스 망각곡선
[정의] 시간 경과에 따른 망각의 관계를 측정한 것으로 반복교육, 복습을 얼마나 자주 많이 하느냐에 따라 망각율이 결정된다 라는 이론입니다.
[망각율][(처음학습에소요된 시간–복습에 소요된 시간)/처음학습에 소요된 시간] × 100%
[파지]학습된 결과의 지속
[망각]학습된 결과의 소실
32. 연습곡선/작업곡선/학습곡선
연습곡선이란 연습이 진행됨에 따라 성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작업곡선, 학습곡선이라고도 함
Y축은 성과, 작업의 질과 양을
X축은 연습시간을 나타냅니다
[연습의 3단계] 의식적, 기계적, 응용적(의식+기계) 연습이 있습니다.
[연습의효과]: 행동신속, 행동이 자동적 됨
사선형, s자형, 부적가속, 정적가속곡산, 프라토현상
33. 고령(장년)근로자 신체적 특징
감각기관(인지), 중추신경(판단), 근육기관(조작)등의 기능저하로 반응시간 지연, 판단 지연 및 집중력 부족, 동작시간 지연 및 근력저하 등으로 재해발생 가능성이 보다 높다.
고령자란 관련 법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단 산업안전보건법에는 규정은 없다.
① 고령자 : 55세 이상인 자
② 준 고령자 : 50세 이상 55세 미만인 자
▶고령근로자 작업 5가지
① 생리적 기능이 빠르게 저하되기 시작
② 근력의 저하는 하체 다리에서 시작
③ 훈련에서 얻은 능력(지식, 기능)은 장기간 사용할수록 유지 가능
④ 경험과 기술축적이 숙련도를 높이고, 보다 복합적인 작업능력을 형성해 줌
⑤ 고령자는 심신기능의 개인별 격차가 더 벌어짐 그러나 작업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위 사항들을 평소에 자기 스스로 깨닫는 경우가 거의 없어, 자기 자신의 심신기능이 떨어짐에도 무리한 행동으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근로자는 본인의 심신기능을 수시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근로자 재해 특성]
① 넘어짐, 떨어짐, 끼임 등
② 연령의 증가에 의해 다리근력이 팔보다 줄어듬
③ 보행의 속도 및 지속력도 저하
④ 연령에 의한 기능 저하가 뚜렷
⑤ 산재율 증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망만인율이 증가(60대 이상은 30대 미만보다 178% 사망)
⑥ 평균 근로손실 일수가 연령에 따라서 증가
⑦ 뇌심혈관 질환 등 업무상 질병의 점유율이 업무상 사고에 비하여 높음
[고령근로자 재해 예방]
⑴ 직접적 대책
안전대책과 작업환경 개선을 들 수 있고 고령화에 따라서 저하하는 신체기능을 고려한 작업환경 조건으로 되는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⑵ 간접적 대책
고령화에 따라 체력, 가정환경, 생활환경 등에 의하여 개인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나며 이들 요인에 의해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개인대상으로 한 직무 내용을 변경하는 등 개개인의 특성에 알맞게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①집합교육보다 개별교육위주로 실시
②개인의 자질 및 적성을 고려한 직무 부여
③고령자를 배려한 업무 지도
34. 재해빈발자 태도판정
재해빈발자 태도판정은 재해빈발자에 대하여 객관적인 방법으로 행동과 적성을 조사하는 것으로
① 질문형식방법
② 평상시 작업태도 분석법
③ UK검사방법(우치다, 크래펠린)
[자세교정방법] 관리적, 교육적, 기술적, 심리적
[유형] 미숙성, 소질성, 상황성, 습관성
35. 주의와 부주의
[주의] 행동의 목적에 의식수준의 집중상태
[부주의] 주의의 저하 또는 산만해지는 상태
▶ 그러나 너무 집중, 또는 주의하다 보면 주변상황을 인지못하기 때문에 인간의 긴장정도 2단계중 일상생활에서의 주의 배분으로 안전작업을 유도해야 한다.
36. 인간의 긴장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 5단계
[0단계]는 수면상태로 의식의 단절·우회이며,
[1단계]는 졸음상태, 의식의 저하->감각차단->착시
[2단계]는 일상생활로 주의 배분으로 안전작업 가능
[3단계]적극활동의 집중으로15분이상 후 지속 불능
[4단계]과긴장은 주의의 일점집중 즉 의식의 과잉상태 따라서 안전작업을 위해 2~3단계를 적절히 배분하여 안전작업을 진행해야함
2023.03.03 - [Safe Insight/안전 공부] - [기출]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 관계
[기출]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 관계
문제 : 건설 안전심리 중 인간의 긴장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의 관계 1. 개요 1) 인간의 긴장 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은 긴장의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서 긴
safeinsight.tistory.com
37. S-R이론(자극과 반응 이론)
S-R이론은 학습의 결과를 자극과 반응의 연결로 설명한 이론입니다. 대표적으로 손다이크(Thorndike)의 시행착오설, 파올로프(Pavlov)의 조건반사설, 왓슨(Watson)의 자극반응이론이 있습니다.
① 호온디크 (Thorndike) : 시행착오설
반복의 법칙, 효과의 법칙, 준비성의 법칙, 분석의 법칙을 설명
② 파올로프 (Pavlov) : 조건반사설
시간의 원리, 강도의 원리, 일관성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를 설명
③ 왓슨 (Watson) :자극반응이론
인간행동과 반응을 분석하여 인간행동 통찰가능방법을 설명한 이론
38. 건설업 외국인근로자 체류자격/ 외국인 작업자에 대한 관리방안
건설현장에 취업가능한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자격
[H-2 방문취업] 자유롭게 고용가능,
체류자격 확인, 건설업 취업인정 증명서 확인, 건설업 취업 인정 증 이수시 기초안전교육 면제, 특례적용 후 취업
① 내국인 구인노력필요(건설14일)
② 특례 고용가능 확인서 발급
③ 근로계약체결
④ 근로개시신고
[E-9] 비전문취업, 지정된 곳 : 고용센터를 통해서만 고용이 가능하다.
[F-4] 건설 단순노무행위 금지, 기능공으로 채용해야하며 관련 기능자격증 이상이 필요 단순노무 행위는 금지하고 있음
[F-2(거주), F-5(영주), F-6 (결혼이민)] 역시 가능
'Safe Insight > 면접 공부 (건설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9회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기출문제 (2) | 2023.05.01 |
---|---|
[면접] 내진, 면진, 제진 - 건설안전기술사 (2) | 2023.02.15 |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공부자료 #3 "도급" (2) | 2023.02.10 |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공부자료 #2 (0) | 2023.02.09 |
건설안전기술사 면접 공부자료 #1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