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건설 안전심리 중 인간의 긴장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의 관계

1. 개요
1) 인간의 긴장 정도를 표시하는 의식수준은 긴장의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서 긴장의 정도에 따라 인간의 뇌파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의 정도에 따라 의식수준이 변동된다.
2) 긴장수준 (Tension Level) 이 저하되면 인간의 기능도 저하되고 주관적으로도 여러 가지의 불쾌증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사고경향이 커진다.
2. 의식수준 5단계
단계 | 주의 상태 | 신뢰도 | 비고 |
0 | 수면 중 | 0 | 의식의 단절, 의식의 우회 |
I | 졸음 상태 | 0.9이하 | 의식 수준의 저하 |
II | 일상 생활 | 0.99~0.99999 | |
III | 적극 활동 | 0.999999 이상 | 주의집중 (15분 이상 불가능) |
IV | 과긴장 | 0.9이하 | 주의의 일점 집중 |
1) 직업의 안전을 위해서는 II 단계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최적의 의식 단계인 II ~ III 단계가 적절히 반복되도록 작업공정의 작업배치가 가장 이상적이다.
3.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의 관계
1) Phase I
심하게 피로한 때의 몹시 귀찮다고 하는 기분이 선행하므로 다음과 같은 부주의 행동이 일어나기 쉽다.
부주의 행동 (에러) | 내용 |
1. 인지ㆍ확인의 에러 | - 눈앞의 신호ㆍ변화를 놓친다. 무관심하여 지나쳐 버린다. - 귀찮다고 하는 기분이 앞서 점검ㆍ확인을 생락한다. |
2. 기억ㆍ판단의 에러 | - 지시ㆍ연락사항을 깜빡 잊어버린다. |
3. 동작ㆍ조작의 에러 | - 눈앞의 생긴 일에 안이하게 손을 댄다 (장면행동) - 감정적으로 난폭하게 다룬다 - 성급하게 작업을 마감한다. |
2) Phase II
예기치 않은 사태에 주의를 빼앗겨 인지를 잘못하거나, 충분히 확인하지 않고 지례짐작을 하는 부주의 행동 (에러)를 범하기 쉽다.
부주의 행동(에러) | 내용 |
1. 인지ㆍ확인의 에러 | - 예기치 않은 사태에 주의를 빼앗겨 확인하지 않은 채 인지를 잘못한다. - 이해를 잘못하거나 지례짐작을 한다 |
2. 기억ㆍ판단의 에러 | - 위험하다고 알고 있었지만 순간적으로 위험을 잊어버린다. - 확인할 것까지도 없다고 믿고, 점검을 생략한다 (예측과잉) - 전에도 성공하였으므로 앞으로도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상대방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연락하지 않는다. - 일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다음 작업을 실시한다. - 다음 작업 (걱정거리)에 마음을 두다가 절차를 잊어버린다. - 일이 갑자기 끼어든 것에 정신을 빼앗겨 절차를 생략하거나 잘못 밟는다. |
3. 동작ㆍ조작의 에러 | - 잠깐 동안을 기다리지 않고 다른 것에 손을 대 중요한 시기를 놓친다. - 돌출적인 습관동작을 컨트롤 하지 못한다. - 반사적으로 손을 내민다 - 지름길 반응, 단락반응을 한다. |
3) Phase III
주의력이 가장 잘 작동하고 주의의 범위도 넓지만 시간, 상황 등이 절박한 경우 판단을 잘못하는 형태의 부주의 행동(에러)이 일어나기도 한다.
부주의 행동(에러) | 내용 |
1. 인지ㆍ확인의 에러 | N/A |
2. 기억ㆍ판단의 에러 | - 시간의 절박, 상황의 급변 때문에 즉시 판단을 하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여 행동을 잘못한다. - 고장 수리 등 일에 열중하다가 주의의 상황, 시간의 경과를 알아차리지 못하여 타이밍을 놓친다 |
3. 동작ㆍ조작의 에러 | - 작업자체가 너무 복잡하여 골똘히 생각에 잠기는 바람에 처리하여야 할 일을 놓친다. |
4) Phase IV
눈앞에서 발생한 일에 흠칫 놀라 그것에 주의를 빼앗기거나, 당황하여 잘못된 조작을 하는 것과 같은 부주의 행동(에러)이 일어나기 쉽다.
부주의 행동(에러) | 내용 |
1. 인지ㆍ확인의 에러 | - 돌발사태에 놀라 일점 집중, 다른 정보를 무시하였다. |
2. 기억ㆍ판단의 에러 | - 과도한 긴장 또는 당황에 따른 흥분 때문에 판단이 혼란스러워지거나 불가능해졌다. - 화 또는 공포 때문에 냉정한 판단을 하지 못한다. |
3. 동작ㆍ조작의 에러 | - 패닉상태에서 무목적, 무의미한 동작을 반복한다. - 과도한 긴장 또는 당황에 따른 흥분 때문에 실수를 하였다. |
4. 결론
1) 인간의 긴장수준이 변화되고 낮아졌을 때 인간과오가 생기기 쉬운 것은 인간의 에러(부주의 행동)가 생기기 쉽고 이로 인한 사고가 많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2)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의식수준 II 단계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최적의 의식단계인 II ~ III 단계가 적절히 반복되도록 작업공정의 작업재치라 가장 이상적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afe Insight > 안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 작업부하 -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1) | 2023.03.08 |
---|---|
[기출] 교량공사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안전 (3) | 2023.03.04 |
[기출] 허용응력설계법(ASD)과 극한강도설계법(USD) (5) | 2023.02.14 |
[화재예방법] 003. 소방안전관리자 (건설현장) (0) | 2023.02.07 |
129회 건설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개인적 의견 (2)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