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회 기출문제에서 난이도가 있었던 문제 중에 하나. 사실 난이도 보다는 출제 빈도가 낮았던 문제로, "허용응력설계법과 극한강도설계법으로 교량의 내하력을 평가하는 방법" 으로 119회 (2019년 8월)에 출제된 적이 있다.
허용응력설계법(ASD)과 극한강도설계법(USD) - 철근콘크리트
1. 철근(강재)의 응력-변형율 그래프
1) 허용응력 설계법 : 0 ~ A 구간, 구조물이 탄성영역에 있다고 가정한 설계법
- 콘크리트 실제 응력 fc < 콘크리트 허용응력 fca
- 철근의 실제 응력 fs < 철근의 허용응력 fsa
- 안전율 = 극한응력 / 허용응력
2) 극한강도 설계법 : 0 ~ D 구간, 구조물이 비탄성 거동인 극한강도 영역에 있다고 가정한 설계법
- 소요강도 ∑γi Li < 설계강도 ΦSn
- γi : 하중 Li 의 불확실 정도에 따른 하중계수
- Φ : 강도감소계수
- Sn : 공칭강도
2. 허용응력설계법
1) 정의 : 철근콘크리트를 탄성체로 가정하고 탄성이론에 의한 응력이 재료의 허용응력을 넘지 않도록 설계하는 방법
2) 설계 개념
- 콘크리트 실제 응력 fc ≤ 콘크리트 허용응력 fca
- 철근의 실제 응력 fs ≤ 철근의 허용응력 fsa
- 안전율 = 극한응력 / 허용응력
3) 허용응력
- 콘크리트의 실제응력 fca = 0.4 fck
- 철근 fsa = 0.5 fcy
- 탄성계수비 n = Es / Ec 사용
3. 강도설계법
1) 정의 : 철근과 콘크리트의 비탄성 거동인 극한강도를 기초로 한 설계방법으로 설계하중이 단면저항력 이내에 있도록 설계하는 방법
2) 설계개념
- 소요강도 ∑γi Li < 설계강도 ΦSn
- γi : 하중 Li 의 불확실 정도에 따른 하중계수 (Load factor)
- Φ : 강도감소계수 (Strength reduction factor)
- Sn : 공칭강도 (Norminal strength), 재료의 실강도에 따른 단면력
4. 허용응력설계법과 극한강도 설계법의 비교 (설계하중, 재료특성, 안전확보 기준)
1) 허용응력설계법의 원리
- 재료의 허용응력이 그 재료에 가해지는 응력보다 크도록 설계한다.
- 콘크리트의 응력을 선형으로 가정하는 탄성설계법이며 변형 전에 부재축에 수직한 평면은 변형 후에도 부재축에 수직이다.
2) 극한강도설계법의 원리
- 부재의 강도는 작용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계수하중을 지지하는데 요구되는 강도보다 크도록 설계한다
- 콘크리트의 극한상태에서의 응력분포는 포물선 형태이나 설계편의 상 직사각형으로 가정한다.
구분 | 허용응력설계법 | 극한강도설계법 |
개념 | 응력개념 | 강도개념 |
설계하중 | 사용하중 | 극한하중 |
재료특성 | 탄성범위 | 소성범위 |
안전확보기준 | 허용응력 규제 | 하중계수 고려 |
잡설
원론적으로 들어가자면 건설안전기술사를 공부하는 사람이 구조기술사의 내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난이도가 높다고 판단은 되지만, 깊게 들어가지 않는 수준에서는 알아두어야 할 것들이다.
용어만 보고 언듯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응력"과 "강도"의 차이점을 생각하면서 그 내용을 파악해보면 접근하기 쉬울 것이다. 응력은 외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고, 강도는 재료가 가지는 본연의 저항력이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허용응력설계법 : 외력에 의해 계산된 단위 면적당의 응력도가요소별(콘크리트, 철근)의 허용응력도 이내로 되도록 설계
극한강도설계법 : 외력이 전체단면으로 계산한 극한 내력보다 적게 되도록 설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afe Insight > 안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 교량공사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안전 (3) | 2023.03.04 |
---|---|
[기출]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 관계 (2) | 2023.03.03 |
[화재예방법] 003. 소방안전관리자 (건설현장) (0) | 2023.02.07 |
129회 건설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개인적 의견 (2) | 2023.02.06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굴착기 (22년 10월 개정) (2)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