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 Insight/안전 공부

[기출] 작업부하 -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Safeinsight 2023. 3. 8. 20:20

문제 : 작업부하의 정의, 작업부하의 평가방법, 피로의 종류 및 원인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기출문제 작업부하

 

1. 개요

작업부하로 인한 피로도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영향요인을 정확히 알고 예방, 관리하려는 노력은 근골격계질환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증진 및 건전한 작업 환경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2. 작업부하의 정의

작업부하(Work load) 는 작업수행에 따라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육체적, 정신적 기능 정도를 말한다. 작업부하에는 작업자에게 압박을 가하여 작업성능을 저하시키는 속도압박과 작업특성을 변화시키는 부하압박이 있다.

[작업부하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 작업방식 : 작업자세, 작업의 흐름, 조작방법, 동작순서, 근육작업

▷ 작업밀도 : 작업속도, 에너지 사용, 주의집중과 긴장도, 업무요구도

 

3. 작업부하 평가방법

1) 주관적 방법

작업자 자신의 자각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방법으로 심리학적 방법, 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하는데 시스템의 안락함, 작업중량의 적절함, 작업에 의한 심리적 부담 등 개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작업부담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2) 객관적 방법

작업자의 정보처리 용량이나 작업기억 등의 가시적 측정이 곤란한 작업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심리학적 방법과, 신체적 및 정신적 부담작업을 평가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생리학적 방법 등이 있다.

(1) 생리학적 방법 : 에너지 대사율(RMR),  근전도(EMG), 심전도(ECG), 뇌전도(EEG), 산소소비량(VO2)

(2) 생화학적 방법 : 아드레날린 배설량, 배뇨 중의 스테로이드 량

 

4. 피로의 종류 및 원인

작업부담이 계속되면서 생기는 신체상의 변화가 피로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강도가 강할수록 피로의 진행이 빨라서 급속히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소비한다.

1)  피로의 현상 (피로의 3표지)

구   분 내   용
(1) 주관적 피로 1) 피곤하다는 자각
2) 권태감, 주의력 감소, 흥미 상실
3) 불안감, 초조감 증가
해소방법
- 적성에 맞는 인사배치
- 육체적, 시간적, 사회적, 작업조건의 변화
- 물리적 작업환경의 변화
(2) 객관적 피로 1) 자업능률 감퇴, 주의 산만, 착오 증가
2) 작업수행 의욕 저하, 생산성 저하
해소방법
휴식 (생산효율을 높이는 방법)
(3) 생리적 피로 1) 인체의 생리상태 검사, 물질의 변화 등으로 추정
2) 고유한 생리반응, 증상 없음
검사방법
- 말초신경의 반응
- 정보수용계의 반응
- 근육긴장 등의 측정

2) 원인

(1) 개체조건 : 성별, 연령, 경력, 체력, 숙련도, 성격, 질병유무 등

(2) 작업조건

    ① 질적 조건 : 근육, 정신적, 심적 부담이 큰 작업, 작업방식과 기계설비

    ② 양적조건 : 작업부담, 작업속도, 근무시간 등

(3) 작업환경조건 : 온습도, 조도, 소음, 진동, 대기오염, 유독가스

(4) 생활조건 : 수면, 식사, 자유시간, 레크레이션 등

(5) 사회적 조건 : 인간관계, 임금과 생활수준 등

 

5. 결론

1) 건설현장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피로를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2) 사업주는 작업자의 피로를 개인의 문제로만 다룰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업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