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이동식 크레인의 설치 시 주의사항과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 중 안전수칙, 운전원 준수사항, 작업 종료 시 안전수칙
1. 개요
이동식크레인이란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로 운반하는 설비로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받는 기중기 또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화물ㆍ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2. 이동식크레인의 설치 시 주의사항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1조)
1) 작업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 작업을 할 것
2) 작업을 할 구역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취지를 보기 쉬운 곳에 표시할 것
3) 비, 눈 그 밖에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시킬 것
4) 작업장소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장애물이 없도록 할 것.
5)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기자재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작업을 하도록 할 것
6) 크레인의 성능, 사용조건 등에 따라 충분한 응력을 갖는 구조로 기초를 설치하고 침하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
7) 규격품인 조립용 볼트를 사용하고 대칭되는 곳을 차례로 결합하고 분해할 것
3. 이동식크레인 작업 중 안전수칙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6조)
사업주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조치를 준수하고, 그 작업에 종사하는 관계 근로자가 그 조치를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인양할 하물(荷物)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2) 유류드럼이나 가스통 등 운반 도중에 떨어져 폭발하거나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 용기는 보관함(또는 보관고)에 담아 안전하게 매달아 운반할 것
3) 고정된 물체를 직접 분리ㆍ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4) 미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하지 않도록 할 것
5) 인양할 하물이 보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아니할 것(신호하는 사람에 의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4. 운전원의 준수사항
1)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준수사항 서약서 부착
2) 개인보호구 지참 및 장비하차 시 안전모, 안전화 필히 착용
3) 이동식크레인의 점검표를 활용하여 일일안전점검 실시
4) 이동경로, 작업방법, 작업범위 등을 숙지(주면 충전선로, 연약지반 등)
5) 신호수 배치 위치 확인 후 이동
6) 연약지반 작업 시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진 철판 사용
7)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 (수평선회)로 운반하는 용도 이외 사용 금지
8) 작업은 신호수의 신호를 따라 임의조작 및 급서회금지
9) 작업 중 휴대폰 및 영상 시청 금지
10) 절토 및 성토 선단부 토사붕괴 위험장소에 이동식크레인 거치 금지
11) 인양물 무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동식크레인의 정격하중 준수
12) 제원에 따른 인양작업반경과 지브의 경사각에 따른 정격하중 이내에서 작업
13) 경사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양작업 금지
14) 인양작업 시 후크와 인양물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할 것
15) 음주운전 금지
16) 안전장치 해제사용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봉인스티커 임의해제 금지
5. 작업종료 시 안전수칙
1) 절토, 성토 선단부 등 토사붕괴 위험장소에 이동식크레인의 설치 금지
2) 운전석 이탈 시 하물을 지면에 내려놓고 시동키는 탈거, 구동엔진정지, 브레이크 작동상태로 하며, 출입문 잠금 조치 준수
3) 작업종료 후 줄걸이 용구 분리보관 또는 최대한 감아올려 관리
6. 결론
이동식크레인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위해서는 이동식크레인의 설치 시 주의사항과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 중 안전수칙, 운전원의 준수사항, 작업종료 시 안전수칙의 준수는 건설 재해 예방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동식크레인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쉽게 점거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안전점검의 효율을 높이고, 이동식크레인의 설치 시, 작업 중, 작업종료 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개인적인 의견]
건설안전기술사의 출제 경향이 점점 법적인 조항을 묻고 있어서 답안을 작성할 때 법을 그대로 가지고 왔다.
하지만 실제 현장의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정리하면 아래 항목들이 있다.
1) 크레인 운전원의 자격 및 교육이수
2) 이동식크레인 설치 장소의 지내력 테스트 실시 : 흙은 PBT , 콘크리트는 전단응력 테스트
3) 크레인의 중량물 무게와 이동반경에 따른 안전성 검토 : 모멘트를 이용한 검토
4) 인양공도구(샤클, 슬링벨트, 와이어로프) 및 인양각도 등에 따른 안전성 검토
5) 관리적인 측면 : 신호수 배치, 작업지휘자 배치, 인원 통제, 운전원의 자체점검
6) 중량물 취급 작업계획서의 수립 : 1~5번 사항이 모두 포함되도록 한다.
다만, 출제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을 정확히 기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129회 출제문제는 법적인 사항들을 물어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afe Insight > 안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5) | 2023.05.17 |
---|---|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6) | 2023.05.12 |
[기출] 작업부하 - 건설안전기술사 129회 (1) | 2023.03.08 |
[기출] 교량공사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안전 (3) | 2023.03.04 |
[기출] 의식수준(5단계) 및 의식수준과 부주의 행동 관계 (2)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