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 Insight/안전 공부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Safeinsight 2023. 5. 17. 18:27

!경고! 뇌피셜입니다.

!경고! 금주 토요일이 필기시험인데 뒤늦게 예상문제를 접한다면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경고! 개인적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거나, 기출문제 중 뜸했던 것들에 대해서 예상해 본다는 의미이므로 나오는 확정이 아닙니다. 즉, 뇌피셜입니다.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130회 건설안전기술사 뇌피셜 예상문제

1. 정자교 붕괴사고에서 파생될 수 있는 문제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대한 결함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중대한 결함

  - 시설물의 안전점검 종류, 실시방법

  - 정밀안전진단 실시 주기, 방법, 보수 보강 방법

  - 철큰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 열화 및 그 방지대책

  - 철근콘크리트 단위수량 (작년에 개정된 시방서가 아직 출제되지 않았음)

  - 철근의 피복두께

  - 철근콘크리트 비파괴 시험방법, 슈미트 해머 보정방법 등

  - 콘크리트 허용 균열 폭

  - 콘크리트 탄산화 및 예방대책

* 정자교 붕괴와 관련해 해명하는 국토부

http://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1&id=95088163 

 

국토교통부에서 알려드립니다

 

www.molit.go.kr

 

2. 인천검단 아파트 무량판슬라브 붕괴사고와 관련된 문제
(2023년 4월 29일 사고로, 문제가 출제된 이후 발생한 사고로 생각되지만, 재작년 HDC 사고 때도 무량판이 이슈가 되었었으므로 적은 가능성이라도 있다고 생각함)

  - 무량판 슬라브 붕괴사고의 원인 및 안전대책

  - 철근의 부착력

  -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 원인과 대책 등

 

3. 최근 발생했던 비교적 큰 사고들

  - 항타기 항발기 전도사고 원인 및 대책

  - 고소작업대 사용시 발생가능한 사고 유형과 안전관리 대책

  - 굴착사면 붕괴원인과 안전관리 대책 (입법예고된 굴착면 기울기에 대한 언급도 필요할 듯)

  - 철근콘크리트 공사 시 추락예방대책

  - 철골작업 시 추락예방대책 (최하사점에 대한 언급 또는 단독문제 가능성)

 

4. 안전관리론 중 근래 나오지 않았던 기출문제들

  - 아담스 사고연쇄반응 이론 

  - 버드의 신 도미노 이론

  - 운동의 시지각, 가현운동

  - Fool proof, Fail safe

 

5. 법 분야 근래 나오지 않았던 기출문제들.

  - 산안법상 관리감독자의 역무

  - 노사협의체, 도급 협의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요건

2023.05.12 - [Safe Insight/안전 공부] -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한번 씩 작업중지에 대한 문제 또는 면접질문이 있을 때가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중지와 관련해서는 사업주, 근로자, 고용노동부 장관 의 작업중지와 해제절차 등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

safeinsight.tistory.com

  - 건진법 안전관리비

  - 건진법상 안전교육

  -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대상 사업과 작성내용

  - (시설물안전법은 정자교 붕괴사고 문제 리스트)

  -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시민재해

 

6. 최근 개정 또는 입법예고된 것들.

최근 개정된 것들도 많고, 입법예고 된 것들도 관련 문제를 출제하여 입법예고 사항들을 인지하고 있는지, 더 나은 대책이나 기술사로 생각하고 있는 논리와 결정을 말할 수 있는지도 볼 수 있다.

  - 건설현장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위에도 있음)

  - 작업환경측정

  - 콘크리트 단위수량 기준 및 측정방법 (위에도 있음)

  - 한중콘크리트

  - 거푸집동바리 재설치 또는 존치기간

  - 건진법 안전관리비 (위에도 있음)

  - 굴착면 기울기 (위에도 있음)

  -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대상공사 및 업무

2023.02.07 - [Safe Insight/안전 공부] - [화재예방법] 003. 소방안전관리자 (건설현장)

 

[화재예방법] 003. 소방안전관리자 (건설현장)

화재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이 신설되었다. 129회 출제 예상으로 꼽았었지만, 출제되지 않았고 화재감시자가 출제되었다. 올해 안에는 출제될 가

safeinsight.tistory.com

  - 위험성평가 (고용노동부에서 너무 강조하고있어서...)

  - 근로자 탑승설비

  - 굴착기

2023.02.02 - [Safe Insight/안전 공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굴착기 (22년 10월 개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굴착기 (22년 10월 개정)

아마 건설현장에 대표하는 건설기계를 들라고 하면 굴착기를 많이 들 것이다. 포크레인, 백호우, 굴삭기 등으로 통용되는데 정식 명칭은 굴착기, 영어로는 Excavator이다. 최근 변경된 굴착기 관련

safeinsight.tistory.com

  -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3대사고유형 8대위험요인 인포그래픽.pdf
7.46MB
붙임3. 사업장 자체점검표(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위주).hwp
0.09MB

 

마치며

늘 그렇듯이, 공부에는 왕도가 없다. 여느 학원에서든 예상문제를 내놓을지 모르겠지만, 결국엔 그 예상문제도 범위가 넓다. 결국 본인이 공부하기 나름이고, 자신 있는 분야가 많이 나오기를 바라야 한다. 출제위원들에 대한 교육이 보다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고, 형평성을 요구하는 민원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추측이 가능한 수준의 문제는 출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반대로 또, 예상문제를 맞혔다 한들, 답안이 출제위원의 모범답안과 의도와 거리가 멀다면 제 아무리 잘 썼다 한들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객관적으로 문제를 채점한다고 하더라도, 그 모범답안에 가까워야 고득점이 될 것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건설안전기술사라는 자격이 단순히 관련 지식만 묻는 시험이 아니라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관련지식은 기본으로 가져가고, 본인의 경험도 녹아들어야 하고, 건설안전기술사로서 가질 수 있는 의견과 결정력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기술사가 다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기술사이지만 관리적인 측면에 대한 문제가 많은 건설안전기술사는 그 답이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하고, 따라서 같은 문제라도 출제시기와 출제위원의 의도에 따라서 점수가 달라지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 어려운 게 이 시험 같다.

 

마지막으로 또 한 번 정말 뇌피셜이다. 일종의 출제경향과 현재의 트렌드를 추측해 보는 중이며, 이렇게 쌓아가면서 무언가를 찾아내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